본문 바로가기

개발/개발환경

[WSL] Linux용 WSL에서 Visual Studio Code 사용하기

반응형

WSL 설치에 대해서는

2024.04.11 - [개발/개발환경] - [WSL] Ubuntu 설치하기

 

[WSL] Ubuntu 설치하기

윈도우에서 유분투를 사용하기 위해서 VirtualBox나 VMWare내에 유분투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과 WSL(Windows 하위 시스템)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WSL을 활용한 유분

rians-itstory.tistory.com

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.

VS Code 및 WSL 확장 설치

  • VS Code 설치 페이지를 방문하여 32비트 또는 64비트 설치 프로그램을 선택합니다. Windows에 Visual Studio Code를 설치합니다(WSL 파일 시스템이 아님).
  • 설치 중에 추가 작업 선택 메시지가 표시되면 code 명령을 사용하여 WSL에서 폴더를 쉽게 열 수 있도록 PATH에 추가 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.
  • 원격 개발 확장 팩을 설치합니다. 이 확장 팩에는 원격 - SSH 및 Dev Containers 확장 외에도 WSL 확장이 포함되어 있어 컨테이너, 원격 컴퓨터 또는 WSL에서 모든 폴더를 열 수 있습니다.

리눅스 업데이트

패키지관리자를 통해 VSCode 서버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합니다.

sudo apt-get update

 

wget(웹 서버에서 콘텐츠 검색) 및 ca-certificates(SSL 기반 애플리케이션이 SSL 연결의 신뢰성을 확인하도록 허용)를 추가합니다.

sudo apt-get install wget ca-certificates

 

VSCode 실행

리눅스 터미널창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

code .

 

확장기능 중에 Remote Development와 함께 부가 확장기능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설치 메시지가 출력됩니다. 설치를 클릭해서 확장기능을 추가합니다.

 

터미널에서도 원격 터미널이 접속되어 편하게 원격개발을 지원합니다.

 

이번 글은 여기까지 입니다.

반응형

'개발 > 개발환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WSL] WSL에 Node.js 설치하기  (0) 2024.04.12
[WSL] Linux GUI 앱 설치  (0) 2024.04.11
[WSL] WSL2 리눅스에 DirectML 구성하기  (0) 2024.04.11
[WSL] 기본 명령어  (1) 2024.04.11
[WSL] Ubuntu 설치하기  (0) 2024.04.11